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한마당-김용백] 들고양이용 탁상정책

환경부가 국립공원 생태계와 천연기념물 보호를 위해 들고양이 관리강화에 나섰다. 환경부는 2017년 북한산 한려해상 등 전국 국립공원에서 들고양이 322마리를 확인했다. 이들의 먹잇감은 설치류, 조류, 양서류, 포유류 등의 작은 동물들이다. 생태계는 어느 한쪽에 이상이 생기면 연쇄적으로 문제가 발생하기 마련이라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환경부가 지난 24일 발표한 관리방안은 두서없고 목표가 모호하다. 목표가 들고양이를 국립공원에서 퇴출하는 건지, 적정 개체 수를 유지하는 건지 분명하지 않다. 들고양이들로 인해 각 서식지 생태계에 어떤 교란이 일어나고 천연기념물 피해가 있는지 모니터링이 제시되지도 않았다. 없애야 한다면 포획해 기존 방식(TNR)으로 중성화시술 뒤 자연 도태시키면 그만이다. 그런데 새 중성화시술(TVHR) 뒤 사냥능력 저하를 위한 새(鳥)보호 목도리를 착용시켜 방사하고, 국립공원 유입을 막기 위해 먹이 안 주기 캠페인을 벌인다는 둥 복잡하다. TVHR은 야생성과 발정기능을 유지시키고 번식만 차단하는 방식이다. 국내에서 이를 실행하고 이후 모니터링을 한 적은 없다고 한다. 목도리의 경우 새들은 이를 보고 피하지만 설치류는 잘 식별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문제는 목도리 산업디자인특허권이 외국에 있고 국내에 제품이 없는 상태다. 들고양이가 싫으면 스스로 벗을 수 있게 만들어졌다니 허점도 안고 있다. 국립공원 이용객들에 대한 캠페인은 효과가 있을까. 국립공원 주변 들고양이들과의 연계된 관리는 또 어찌하는 것인지. 돈을 들이는 정부정책인데도 실행 의지와 실효성이 심히 의심스럽다.

국내 고양이들의 생활 양태는 복잡하다. 농촌경제연구소에 따르면 2017년 반려동물 개체 수는 874만여 마리로 추산됐다. 반려고양이는 154만여 마리. 농림축산검역본부의 ‘2018년 반려동물 보호 및 복지관리 실태조사 결과’에선 유기·유실된 반려동물이 12만1077마리로 집계됐고, 고양이가 2만8090마리(23.2%)였다. 파악된 것만이다. 이들 고양이 30%는 인도·분양·기증되고, 60%는 자연사나 안락사, 10%는 보호·방사됐다. 고양이는 반려동물인 집고양이로, 유기·유실되면 길고양이로, 더 야생화하면 들고양이로 삶이 바뀐다. 최근 반려고양이 개체 수는 급증세다. 들고양이가 유기·유실 반려고양이에서 비롯된다면 이 고리를 끊는 게 더 근원적이고 실효성이 있겠다.

김용백 논설위원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09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