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에서 판매되는 반려동물용 사료 중 일부에서 미생물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식중독균이 검출됐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논란이 되고 있다.
26일 광주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연구팀이 반려동물 사료·간식 130개 제품을 검사한 결과 판매되는 사료 절반 가까이에서 보존료나 산화방지제 등 식품첨가물이 검출됐다. 반려동물 먹거리는 보호자 등 소비자와 직접 접촉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사람에게서 2차 감염이 일어날 수 있는 중요한 동인이 되고 있다.
연구팀은 2021년 3∼8월 광주에서 유통 중인 반려동물용 사료·간식 130개 제품에 대해 미생물 오염도와 식품첨가물 사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130개 중 14개 제품(10.8%)에서 미생물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식중독균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장균군 기준치 초과 13건(10%), 일반세균수 기준치 초과 9건(6.9%), 살모넬라 검출 2건(1.5%), 병원성 대장균 검출 2건(1.5%) 순이었다. 이중 살모넬라와 병원성 대장균은 식중독균이다. 이들 14개 제품 중 9개(64%)는 개인의 소규모 수제 간식 판매점 제품, 나머지 5개(36%)는 대형마트·애견숍에서 판매된 제품이었다.
또 130개 중 61개(47%)에서 보존료나 산화방지제가 검출됐다. 61개 제품 모두 대형마트·애견숍 제품이었다. 1개 제품에서 보존료가 ㎏당 7.4g이나 나왔다.
반려동물용 사료·간식에 든 보존료 등 식품첨가물은 사료의 보존과 유통을 돕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부작용도 있으므로 오남용은 지양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거듭 강조했다.
‘무방부제’·‘보존료 무첨가’라고 표기된 20개 제품 중 40%(8개)에선 표시와는 다르게 보존료가 검출돼 의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연구팀은 “현재의 사료관리법은 소·돼지·닭 등 축산업을 대상으로 만든 법령이므로 반려동물 먹거리에 대한 미생물과 식품첨가물 기준이 부족하다”며 “반려동물 사료·간식의 위생·안전관리를 위한 기준과 규격 제정이 필요하다”고 충조평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가축위생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